728x90
반응형
국내 일주일 살기 프로그램 운영 지자체 및 참가 비용 안내
최근 국내 여러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‘일주일 살기’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. 이 프로그램은 단기 체류를 통해 지역 문화를 체험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보통 숙박비 지원 체험 프로그램 제공 교통비 일부 지원 등이 포함되며 참가자는 일부 비용만 부담하면 지역에서 한 주를 보낼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국내에서 ‘일주일 살기’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주요 지자체와 참가 비용 그리고 주변 관광지 및 요금 정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.
1. 강원도 강릉시 - 강릉 한 달 살기 (일주일 단기도 가능)
운영 개요
- 지원 내용: 숙박비중 일부 지원 (자부담 30~50%)
- 신청 방법: 강릉시청 홈페이지
- 운영 기관: 강릉시청 관광과
- 전화번호: 📞 033-640-5808
- 홈페이지: 강릉시청
- 이메일: tourism@gn.go.kr
예상 비용 (1인, 6박 7일 기준)
항목비용 (원) 비고
숙박비 | 150,000 | 게스트하우스 기준 (호텔은 약 30~50만 원) |
식비 | 140,000 | 1일 2만 원 (한 끼 7,000원 가정) |
교통비 | 30,000 | KTX 왕복 + 현지 버스 이용 |
체험비 | 20,000 | 오죽헌, 선교장 입장료 포함 |
기타 생활비 | 30,000 | 카페, 기념품 등 |
총합 | 370,000 | 숙박 지원받을 경우 250,000원 수준 |
주요 관광지 및 요금
- 경포대 해변 - 무료
- 오죽헌 - 3,000원
- 안목 해변 커피 거리 - 무료 (커피 개별 구매)
- 정동진 모래시계공원 - 무료
- 선교장 - 5,000원
2. 경상북도 경주시 - 경주 살아보기
운영 개요
- 지원 내용: 숙박비중 일부 지원 (자부담 20~40%)
- 신청 방법: 경주시청 홈페이지
- 운영 기관: 경주시청 관광컨벤션과
- 전화번호: 📞 054-779-6061
- 홈페이지: 경주시청
- 이메일: tour@gyeongju.go.kr
예상 비용 (1인, 6박 7일 기준)
항목비용 (원) 비고
숙박비 | 180,000 | 한옥 게스트하우스 기준 (호텔은 약 40만 원) |
식비 | 140,000 | 1일 2만 원 (한 끼 7,000원 가정) |
교통비 | 40,000 | KTX 왕복 + 현지 버스 |
체험비 | 30,000 | 불국사, 석굴암 입장료 포함 |
기타 생활비 | 30,000 | 카페, 기념품 등 |
총합 | 420,000 | 숙박 지원받을 경우 300,000원 수준 |
주요 관광지 및 요금
- 불국사 - 6,000원
- 석굴암 - 6,000원
- 첨성대 - 무료
- 동궁과 월지 - 3,000원
- 황리단길 - 무료
3. 전라남도 여수시 - 섬 마을 살아보기
운영 개요
- 지원 내용: 숙박비중 일부 지원 (자부담 20~40%)
- 신청 방법: 여수시청 홈페이지
- 운영 기관: 여수시청 관광과
- 전화번호: 📞 061-659-3874
- 홈페이지: 여수시청
- 이메일: tourism@yeosu.go.kr
예상 비용 (1인, 6박 7일 기준)
항목비용 (원) 비고
숙박비 | 120,000 | 어촌 민박 기준 |
식비 | 140,000 | 1일 2만 원 (신선한 해산물 가능) |
교통비 | 40,000 | KTX 왕복 + 현지 이동 |
체험비 | 30,000 | 갯벌 체험, 바다낚시 등 |
기타 생활비 | 30,000 | 기념품, 카페 등 |
총합 | 360,000 | 숙박 지원받을 경우 250,000원 수준 |
주요 관광지 및 요금
- 오동도 - 무료
- 여수 해상 케이블카 - 22,000원
- 아쿠아플라넷 여수 - 29,000원
- 향일암 - 2,000원
- 여수 밤바다 투어 - 10,000원
4. 제주도 - 제주 한 달 살기 (일주일도 가능)
운영 개요
- 지원 내용: 지자체에서 숙박비 일부 지원
- 신청 방법: 제주관광공사 및 숙박업체
- 운영 기관: 제주관광공사
- 전화번호: 📞 064-740-6000
- 홈페이지: 제주관광공사
- 이메일: info@ijto.or.kr
예상 비용 (1인, 6박 7일 기준)
항목비용 (원) 비고
숙박비 | 200,000 | 게스트하우스 기준 (호텔은 약 50만 원) |
식비 | 150,000 | 1일 2.5만 원 (해산물 등) |
교통비 | 60,000 | 항공권 + 현지 버스 |
체험비 | 40,000 | 성산일출봉, 우도 입장료 포함 |
기타 생활비 | 50,000 | 카페, 기념품 등 |
총합 | 500,000 | 숙박 지원받을 경우 350,000원 수준 |
주요 관광지 및 요금
- 한라산 국립공원 - 무료
- 성산일출봉 - 5,000원
- 우도 배편 - 8,500원
- 제주 동문시장 - 무료
- 카멜리아힐 - 12,000원
5. 강원도 양양군 - 서핑 & 한 달 살기
운영 개요
- 지원 내용: 숙박비 일부 지원
- 신청 방법: 양양군청 홈페이지
- 운영 기관: 양양군청 관광과
- 전화번호: 📞 033-670-2723
- 홈페이지: 양양군청
- 이메일: tourism@yangyang.go.kr
예상 비용 (1인, 6박 7일 기준)
항목비용 (원) 비고
숙박비 | 180,000 | 게스트하우스 기준 (호텔은 약 40만 원) |
식비 | 140,000 | 1일 2만 원 |
교통비 | 40,000 | KTX 왕복 + 현지 이동 |
체험비 | 50,000 | 서핑 강습 포함 |
기타 생활비 | 30,000 | 카페, 기념품 등 |
총합 | 440,000 | 숙박 지원받을 경우 300,000원 수준 |
주요 관광지 및 요금
- 죽도 해변 - 무료
- 서핑 강습 - 50,000원 (보드 렌털 포함)
- 낙산사 - 3,000원
- 양양 전통시장 - 무료
결론
국내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‘일주일 살기’ 프로그램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지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. 특히 숙박비 일부 지원과 체험 프로그램 무료 제공 등의 혜택이 많아 여행보다 경제적 부담이 적습니다. 참가 비용은 평균적으로 평균 35만~50만 원 선에서 형성되며 일부 지자체 지원을 받으면 25만~35만 원 수준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.
보다 정확한 정보는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계절별로 운영 방식이 달라질 수도 있으니 사전 문의 후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. 올 한 해는 다들 한 번쯤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일주일살기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셔서 지자체 살리기에도 힘을 보태 주며 즐겁게 여행하는 것도 참 좋은 여행방법 중 하나가 아닐까? 합니다.
728x90
반응형